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2016년(24권)~2020년(36권)까지_조직신학연구 > 연혁과 임원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를
방문하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2016년(24권)~2020년(36권)까지_조직신학연구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 25-05-07
  • 조회5회

본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발간]


「조직신학연구」 24호 2016년 봄•여름호

최덕성 “존 웨슬리의 이단 관용정신”

김지훈 “테오도레 베자의 신학 안에서 예정론에 대한 이해“

권호덕 “칼빈의 유럽대륙 후예들의 성육신 이해”

김영한 “헬무트 틸리케의 개혁주의적 성령론적 신학”

최윤배 “김삼환의 특별새벽기도신학에 관한 연구”


「조직신학연구」 25호 2016년 가을•겨울호

한상화 “칼빈의 섭리론 해석: 내재적 방식과 초월적 근거”

김광열 “죽산 박형룡의 구원론 연구: 성령론과 성화론을 중심으로”

이경직 “헤르만 바빙크의 『개혁교의학』에 나타난 죄 이해”

김영한 “신앙고백서의 현재적 의의와 적용: 개혁교회의 관점에서”


「조직신학연구」 26호 2017년 봄•여름호

김윤태 “웨슬리 감리교의 구원의 확신 이해에 대한 개혁주의 언약신학적 평가”

김광열 “복음주의 성경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이웃됨’의 의미”

정동곤 “칼빈 신학과 학제간 통찰 신학”

현재규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의 성령론”


「조직신학연구」27호 2017년 가을•겨울호

김영한, “루터의 십자가 신학 착상”

조봉근,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년사 회고록”

한상화, “교리의 본질에 대한 하나님 중심적 재고”

유창형, “중생 전후의 인간 상태에 대한 칼빈과 웨슬리의 비교 연구”

조영호, “복음주의와 공공신학”

류성민, “교회의 책, 성경: 멜란히톤의 시편 주석을 통해 본 그의 성경관”

홍 철, “성경관의 비교 연구: 박형룡과 김재준을 중심으로”

박재은, “결정적 성화 개념과 구원의 순서 사이의 관계성 고찰”

임영동,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삼위일체 자연신학: 계시 인식론을 중심으로”

김은수,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과 발전 역사에 대한 연구”

박찬호, “츠빙글리의 개혁신학: ‘참 종교와 거짓 종교에 대한 주해’를 중심으로”

박태수, “칼빈과 몰트만의 교회론 비교연구: 삼위일체적 관점에서”


「조직신학연구」 28 (2018년 6월 30일)

이상은, “종교개혁의 정신 그리고 4차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는 교회의 과제”

김성원,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론에 관한 분석비평 연구”

김윤태, “칼빈의 영성: 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서 경건”

김상엽, “벤자민 워필드의 성경관과 과학관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

: 인간의 기원 문제를 중심으로”

유진열, “지정학적으로 민감한 한국 상황에 정당한 전쟁이론의 적용성에 대한

변증법적 전망”

박성철, “헬무트 골비처의 정치신학에 관한 연구”


「조직신학연구」 29 (2018년 9월 30일)

이경직, “교회 일치와 분열의 기준: 본질적 교리와 비본질적 교리”

유정선, “이단의 실상과 교회의 대응”

이윤석, “개혁주의 신학서론의 구조에 대한 고찰”

안인규, “하나님 말씀의 삼중적 형태에 대한 칼 바르트의 견해: 말씀 선포를 중심으로”

이상웅, “죽산 박형룡의 행위 언약 이해에 대한 고찰”

박재은, “도르트 신경의 빛으로 읽는 인간 타락의 4중 원인과 신학적‧실천적 함의”

장호광, “칼빈 종말론의 정점(culmen)으로서 ‘부활’ 이해”

김은수,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에 대한 분석적 연구”


「조직신학연구」 30 (2018년 12월 30일)

한상화, “케서린 켈러의 트랜스페미니즘에 대한 복음주의 신학 관점에서의 비평적 고찰”

전대경, “인본주의에서 초인본주의로 옮겨가는 다문화적 다지능 시대

: 자연지능과 인공지능이 공존하는 다가오는 다문화에 대한 복음주의의 응답”

이성호, “개혁파 신론을 변증하기 위한 알미니우스주의와의 투쟁

: 존 오웬의 신학적 출발점”

권문상,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기독교 인간론: 인공지능을 이기는 공동체적 인간성”

김정준, “일제 치하 제암리교회 학살사건의 신학적 성찰”

한병수, “초기 한국어 성경의 번역에 반영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예정론”


「조직신학연구」 31 (2019년 4월 30일)

김성원, “과학기술문명 시대의 포스트-바르트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향한 프롤레고메나”

최윤배, “교회사적 배경에서 비추어 본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직제에 관한 연구”

정동곤, “신학과 일반 학문: 경계와 경계의 허물어짐”

김상엽, “리츨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판

: 제임스 오르, 헤르만 바빙크, 벤자민 워필드를 중심으로“

이승구, “개혁파 교회에 대한 츠빙글리의 기여”

권문상, “존 웨슬리의 구원론적 교회론: 교회 개혁의 기초로서의 소그룹 교회 구조”

이상은, “기술혁명시대에 돌아보는 하나님의 형상론: 달페르트의 인간론 고찰”



「조직신학연구」 32 (2019년 8월 30일)

전대경,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 목사의 가능성과 그 문제

: 마음, 영혼, 혹은 ‘의식적 의지’의 본질을 중심으로”

이윤석, “유발 하라리의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유창형, “기독교인의 정치참여 입장에서 본 3.1 운동”

윤형철, “칼빈의 교회직분개혁을 통해 본 기독교적 형성”

임영동, “기독교 자연신학의 가능성과 현실성: 칼빈의 자연이해를 중심으로”

김병대, “사도행전 오순절 방언과 현대 방언이 동일한 방언이었을 가능성 연구”

: 사도행전 2장과 고린도전서 12장을 중심으로



「조직신학연구」 33 (2019년 12월 30일)

김경철, “하나님의 창조질서와 자연에 대한 생태신학적 고찰”

강웅산.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주체사상의 ‘생명’ 개념”

길상엽, “비폭력적 십자가 이해에 대한 개혁신학의 비판”

-데니 위버와 월터 윙크를 중심으로

이윤석, “그리스도와 교회, 문화의 관계에 대한 티모시 켈러의 관점 분석”

: 리처드 니버, 도날드 카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권문상, “부모 공경과 유대인의 공동체 의식”

: 성경적 부모 돌봄 개념과 유교적 효(孝) 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

박태수, “과정신학의 신론과 열린신학의 신론 연구”


「조직신학연구」 34 (2020년 4월 30일)


다윈의 창조론 ┃ 20

Darwin’s Creationism 

전대경 Dae Kyung Jun


우연과 필연에 대한 루터와 칼빈의 이해 비교┃ 44

Comparison of Their Views on Contingency and Necessity

Between Luther and Calvin 

김찬영 Chan Young Kim


바르트 화해론에 나타난 ‘죄론’ 배치의 문제: ‘무’ 개념 및 삼중적 직임의 분석과 비판을 중심으로┃ 72

Karl Barth’s Structure of Reconciliation and the Strategy of Arranging Sin

박홍기 Hong Ki Park


유신진화론에 대한 웨인 그루뎀의 비판 ┃ 108

Wayne Grudem’s Criticism on Theistic Evolutionism

박찬호 Chan Ho Park


일립 강태국 박사의 애국사상과 민족복음화 운동 ┃ 138

Dr. Kang Tae-Kook’s Patriotic Thoughts and His National Evangelistic Movement

박태수 Tae Soo Park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세계화 ┃ 174

Globalization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이경직 Kyung Jik Lee


「조직신학연구」 35 (2020년 8월 30일)


데이비드 웰스의 현대 문화 분석에 대한 한 논의 ┃ 26

David Wells’ Analysis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이승구 Seung Goo Lee


예장합동측의 여성강도권과 여성안수에 관한 신학적 분석과

현실적 대안 ┃ 66

A Theological Analysis and Practical Suggestion on Women’s

License to Preach and Ordination in the Context of GAPCK

(Hapdong)

유창형 Chang Hyung Yoo


아더 피어선의 영성 ┃ 100

The Spirituality of A. T. Pierson

전대경 Dae Kyung Jun


제임스 K. A. 스미스의 예전적 정치신학에 대한 연구 및 평가┃ 126

A Study and Appraisal of James K. A. Smith’s Liturgical

Political Theology

현기상 Gi Sang Hyeon


칼빈의 창조론 ┃ 182

Calvin’s Doctrine of Creation

박찬호 Chan Ho Park


신학은 학문인가? - 칼빈의 ????기독교강요????의 빛에서 본 개혁주의 생명신학의 ‘신학’ 이해 - ┃ 204

Is Theology Science? - Understanding of The ‘Theology’ of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Light of Calvin’s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김윤태 Youn Tae Kim



「조직신학연구」 36 (2020년 12월 30일)


성경권위담론을 위한 인식론적, 교리적, 해석학적 차원의 통합적

고려 ┃ 24

Integrated Consideration of Epistemological, Doctrinal, and

Hermeneutic Dimensions for the Discourse of Scripture’s

Authority

윤형철 Hyung Chul Yoon


잔 그레스햄 메이천(J. Gresham Machen)의 성경관과 변증 ┃ 60

A Study on the John Gresham Machen’s View of the Bible

and His Apologetics

이병일 Byung Il Lee


교회와 국가의 관계: 종교의 자유를 중심으로 ┃ 82

Church-State Relationship: Focusing on Religious Freedom

길상엽 Sang Yup Gil


반기독교 사회 분위기를 향한 기독교의 해체주의적 반성과 건설적인 접근 방향성에 대한 연구 - 자크 데리다와 크리스토퍼 히친스가 전개한 해체주의의 연속성, 비연속성, 신학적 함의를 중심으로 - ┃ 112

A Study on Christianity’s Deconstructive Self-Reflection and Constructive Approaches toward Anti-Christianity – Focusing on Continuity, Discontinuity, and Theological Implication of Deconstruction Between Jacques Derrida and Christopher

Hitchens -

박재은 Jae Eun Park


도르트 신경의 성도의 견인 교리 조항들에 대한 고찰 ┃ 162

A Study on the Articles of the Doctrine of 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in the Canons of the Dort

이윤석 Yoon Seok Lee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메리토크라시(Meritocracy)의 횡포”에 대한 분석비평 연구 ┃ 194

A Critical Analysis on the Tyranny of Merit of Michael Sandel

김성원 Sung Won Kim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STKETS, Systematic Theology Division of Korea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14028 경기 안양시 만안구 삼덕로37번길 22 안양대학교 Tel. 031-364-1834 | Fax. 031-467-0777 |
Homepage : www.stkets.com stkets.jams.or.kr | e-mail : (전체) stkets1997@gmail.com (편집)
Copyright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STKET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