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2021년(37권)~현재까지)_조직신학연구
작성자관리자
본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연혁(2021년(37권)~현재까지_조직신학연구
「조직신학연구」 37 (2021년 4월 30일)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인간됨과 인간다움의 조건에 관한 단상: 포스트휴머니즘 인간론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답변 ┃ 26
Thoughts on the Conditions for Humanity and Human life in the Post-corona era: Christian Theology’s Response to the Anthropology of Posthumanism
윤형철 Hyung Chul Yoon
기독교 창조론과 생태계 위기: 린 화이트의 주장에 대한 세 가지 반론 ┃ 62
Christian Doctrine of Creation and the Ecological Crisis: Three Counter-arguments against Lynn White’s Thesis
박찬호 Chan Ho Park
해방 이전 한국 장로교 목사들의 종말론 ┃ 94
A Study on the Eschatology of Korean Presbyterian Pastors Before the Liberation
이상웅 Sang Ung Lee
트렌트, 제2차 바티칸, 『가톨릭교회 교리서』의 칭의와 성화 교리에 대한 개혁신학 관점의 비판적 고찰 ┃ 124
A Critical Review of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of Trent, the Second Vatican, and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이윤석 Yoon Seok Lee
개혁주의 성화론에 있어서 ‘영적 성숙’과 ‘성령충만’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15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Maturity and Holy Spirit Fulfillment in the Reformed Doctrine of the Sanctification
안인규 In Kyu An
한상동의 설교에 나타난 창조론에 대한 고찰 ┃ 190
A Study on the Doctrine of Creation in the Preaching of Han Sang Dong
이신열 Samuel Y Lee
「조직신학연구」 38 (2021년 8월 31일)
포스트모던 정통주의 신학자 김성원 박사의 학문적 여정 ┃ 8
김성원 Sung Won Kim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에 대한 죽산 박형룡의 이해 ┃ 28
Park Hyung-Nong’s Understanding of the Theological Tradi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이상웅 Sang Ung Lee
심산 차영배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연구 ┃ 66
Young-Bae Cha’s Understanding on the Trinity
이동영 Dong Young Lee
에밀 브룬너(E. Brunner)의 “만남으로서의 진리”가 지닌 교회론적 함의 ┃ 112
A Study on the Ecclesiological Meaning of Brunner’s Theisis “Truth as Encounter”
박영범 Young Bum Park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 1623-1687)의 창조론┃ 146
Francis Turretin’s Doctrine of Creation
이신열 Samuel Y Lee
프란시스 쉐퍼의 성경관과 창조론 ┃ 182
Francis Schaeffer’s Doctrines of the Scripture and the Creation
박찬호 Chan Ho Park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이 강행하는 성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12
A Critical Study on the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곽혜원 Hye Won Kwak
칼 바르트와 위르겐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차이에 관한 탐구┃ 244
An Investigation on the Trinitarian Difference between Karl Barth and Jürgen Moltmann
오성욱 Sung Wook Oh
「조직신학연구」 39 (2021년 11월 30일)
A Consideration on Karl Barth’s Attempt to ‘Unphilosophize’ Friedrich Schleiermacher’s Philosophical Soteriology ┃ 10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철학적 구원론을 ‘비철학화’하려는 칼 바르트의 시도에 대한 고찰
Jae Eun Park 박재은
기독교 자연신학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알리스터 맥그래스를 중심으로- ┃ 54
Scientific Methodology for Christian Natural Theology
-Focused on Alister McGrath
임영동 Young Dong Lim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 94
The Necessity of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 Pandemic
곽혜원 Hye Won Kwak
조나단 에드워즈가 이해한 천국의 진보: 과정신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132
Jonathan Edwards’ Understanding on Progress in the Consummated Kingdom: Focusing Comparison with Process Theology
김성태 Sung Tae Kim
Natural Grace and Supra-natural Grace: Similarities between Gregory of Nyssa and Augustine in their spirituality ┃ 160
자연적 은혜와 초자연적 은혜: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영성 신학의 유사성
Chung Man Lee 이충만
「조직신학연구」 40 (2022년 4월 30일)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의 영적 생명력: 공동체로서의 교회 회복과 세이비어 교회의 사례 ┃ 12
Spiritual Vitality in the Pandemic and Online Era: the Restoration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and the Case of the Church of the Savior
권문상 Moon Sang Kwon
츠빙글리와 재세례파의 관계 ┃ 52
Zwingli’s Relation to the Anabaptists
박찬호 Chan Ho Park
그리스도의 속죄의 범위에 있어 충분성과 유효성에 대한 존 다버넌트와 칼빈의 인식 ┃ 84
John Davenant and Calvin’s Perceptions of Sufficiency and Efficacy in the Extent of Christ’s Atonement
김재용 Jae Yong Kim
기쁨의 희망, 교회의 기쁨 - 위르겐 몰트만과 디트리히 본회퍼의 ‘기쁨’에 대한 신학적 담론 ┃ 116
Hope of Joy, Joy of Church - Theological discourses about “joy” by Jürgen Moltmann and Dietrich Bonhoeffer
김성호 Sung Ho Kim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를 위한 신학 - '거룩한 신학의 학문'(1883)을 중심으로 - ┃ 146
Herman Bavinck’s Theology for Church: Centered on his inaugural address, “The Science of Holy Theology”(1883)
이상웅 Sang Ung Lee
말씀과 체험으로부터의 인식론을 넘어 성경으로부터의 인식론으로: 토대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 184
Toward an Epistemology grounded upon the Bible beyond an Epistemology based on the Word and Experience: A Critical Reflection on Foundationalism
오승성 Seung Sung Oh
「조직신학연구」 41 (2022년 8월 30일)
신천지의 종말론 비판 : ????요한계시록의 실상????에 나타난 핵심교리를 중심으로 ┃ 12
A Theological Response to the Core Doctrines in <The Reality of Revelation> of the Eschatology of Shincheonji
박태수 Tae Soo Park
환경위기 극복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교리와 윤리의 관계 ┃ 44
A Relationship between Doctrine and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Overcoming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이신열 Samuel Y. Lee
조나단 에드워즈의 ????이신칭의????에 나타난 칭의 교리 이해에 대한 고찰 ┃ 82
A Review on Jonathan Edwards’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이윤석 Yoon Seok Lee
김호식 박사의 생애와 신학 연구 ┃ 112
The Study on the Life and Theology of David Ho-Sik Kim
유정선 Jeong Seon Ryu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 그 현재적 의의 및 적용┃ 140
Kierkegaard’s Criticism of Christianity, Its Present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장호광 Ho Koang Jang
하나님의 선택 대상자에 대한 칼빈의 인식: 그의 주석을 중심으로 ┃ 172
Calvin’s Recognition on the Judgement of God’s elected Ones: Focusing on His Commentaries
김재용 Jae Yong Kim
다원성의 도전 속의 기독교 윤리 -현대 기독교 사회윤리의 도전으로서의 ‘다원주의’의 질문- ┃ 206
Christian Ethics in the Challenge of Pluralism -Pluralism as a challenge to contemporary Christian social ethics
이상은 Sang Eun Lee
성품 윤리로 분석한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 형성 ┃ 240
Moral Character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based on Character’s Ethics
강성호 Seong Ho Kang
「조직신학연구」 42 (2022년 12월 30일)
탈진실의 해독제로서 비판적 실재론의 차용? : 웬첼 반 휴이스틴의 후토대주의 합리성에 대한 재검토 ┃ 10
Appropriation of Critical Realism as an Antidote to Posttruth? : Revisiting Wentzel van Huyssteen’s Postfoundational Rationality
윤형철 Hyung Chul Yoon
십자가에서 극복된 무: 칼 바르트의 새로운 신정론 ┃ 46
The Nothingness which is overcome at the Cross: a new theodicy-Focusing on Karl Barth’s Interpretation
황돈형 Don Hyung Hwang
뉴노멀 시대와 칼 바르트 교회론
-기독론 집중의 교회론 비판과 대안을 중심으로- ┃ 82
New Normal and Karl Barth’ Ecclesiology: Focusing on Critiques and Alternatives to His Christology-centered ecclesiology
박홍기 Hong Ki Park
죽산 박형룡의 죄의 전가에 대한 이해 고찰 ┃ 116
A Study on Dr. Park Hyung-Nong’s Position on the Imputation of Sin
이상웅 Sang Ung Lee
능력주의와 그리스도인의 책임 - 디트리히 본회퍼의 ‘책임’과 ‘형성의 윤리’ 개념을 중심으로┃ 150
Meritocracy and Christians’ Responsibility - With a focus on Dietrich Bonhoeffer’s concepts of “responsibility” and “ethics of formation”
김성호 Sung Ho Kim
「조직신학연구」 43 (2023년 4월 30일)
타자를 위한 교회, 타자를 위한 사중복음
-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통한 사중복음의 기독교윤리학적 담론들 ┃ 10
The Church for Others and the Fourfold Gospel for Others
- The Christian ethical discourses of the Fourfold Gospel throug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김성호 Sung Ho Kim
삼위일체적 자유의지론 ┃ 50
Trinitarian Free Will
신문철 Mun Chul Shin
성혁명의 도전을 마주한 한국교회와 여성 ┃ 84
Facing Challenges of the Sexual Revolution and the Woman Issues in the Korean Church.
한상화 Sang Hwa Han
예술과 소명 그리고 샬롬 ┃ 124
Art, Calling and Shalom
라영환 Young Hwan Ra
한스 큉의 은사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그의 ????교회????를 중심으로 ┃ 150
A Critical Study on Hans Kung’s Understanding of Charisma:
With Emphasis on His Church
이신열 Samuel Y. Lee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서 나타난 상호몸성, 신학적 의의 및 적용 ┃ 184
Intercorporeality in Merleau-Ponty’s Body Philosophy,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장호광 Ho Koang Jang
그레고리 보이드의 God of the Possible (가능성의 하나님)에 대한 신학적 비판 ┃ 214
A Theological Critique of Gregory Boyd’s God of the Possible
박태수 Tae Soo Park
‘웨슬리안 사중복음’과 동방교회 구원론에 대한 비평적 소고 ┃ 250
The Soteriological Dialogue of the Wesleyan Fourfold Gospel and the Orthodox Church
오성욱 Sung Wook Oh
「조직신학연구」 44 (2023년 8월 30일)
R. L. 스테이플스의 웨슬리 성화론 재해석에 대한 비판 ┃ 10
A Critique of Rob L. Staples’ Reinterpretation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배명지 Myung Ji Bae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하나님나라운동과 신학의 공공성 ┃ 46
Kingdom of God Movement of Reformed Life Theology and the Publicity of Theology
박찬호 Chan Ho Park
얽힘의 성만찬 -메를로-퐁티의 키아즘을 중심으로- ┃ 82
The Eucharist of Entanglement
박주필 Joo Pil Park
데이비드 반드루넨의 공공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 110
A Reformed Theological Evaluation on David VanDrunen’s Public Theology
황경철 Keang Chell Hwang
공적으로 신학하기(Doing Theology Publicly) : 헤르만 바빙크를 중심으로 ┃ 150
Doing Theology Publicly in Herman Bavinck’s Prolegomena
김은득 Eun Deuk Kim
「조직신학연구」 45 (2023년 12월 30일)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의 기독론에 대한 분석과 평가 ┃ 46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Christology of Theodore of Mopsuestia
유창형 Chang Hyung Yoo
중국인 신학자 가옥명(Jia Yuming, 1880-1964)의 종말론 고찰 ┃ 78
A Study on the Eschatology of Jia Yuming (1880-1964), A Chinese Theologian
이상웅 Sang Ung Lee
개혁주의적 관점의 은사 이해: 칼빈의 신약 주석을 중심으로 ┃ 118
Understanding the Gifts from a Reformed Perspective: Focusing on Calvin’s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성민규 Min Gyu Seong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의 신학적 성경적 타당성 고찰 ┃ 150
An Examination of the Theological and Biblical Validity of the Doctrine of Christ’s Active Obedience
김찬영 Chan Young Kim 목차 45
고통에 대한 헤르만 바빙크의 견해 ┃ 182
Herman Bavinck’s Views on Suffering
박재은 Jae Eun Park
생태학적 성결신학: 웨슬리의 ‘하나님의 형상’을 중심으로 ┃ 214
Ecological Holiness Theology Related to John Wesley’s Understanding of Imago Dei
김경수 David Kyung Soo Kim
공공신학자로서 아브라함 카이퍼의 명암: '칼빈주의 강연'을 중심으로 ┃ 246
Securing Abraham Kuyper as a Public Theologian: Focusing on his Lectures on Calvinism
김은득 Eun Deuk Kim
「조직신학연구」 46 (2024년 4월 30일)
구원의 수효에 관련된 다수와 소수에 대한 칼빈의 인식: 칼빈주의 제한속죄 논쟁을 중심으로 ┃ 16
Calvin’s Recognition of the Majority and the Minority in the Number Related to Salvation: Focusing on Calvinism’s Controversy over Limited Atonement
김재용 Jae Yong Kim
저자는 죽지 않았다: 케빈 밴후저의 커뮤니케이션 작인자를 통한 성경해석의 새로운 지평 ┃ 52
The Author is Not Dead: A New Horizon for Biblical Interpretation through Kevin J. Vanhoozer’s Communicative Agent
이정희 Jeong Hee Lee
성령을 통한 교회의 연합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이해 ┃ 92
Augustine’s Understanding of the Unity of the Church Through the Holy Spirit
조동선 Dong Sun Cho
성경의 내적 통일성과 외적 통일성 ┃ 128
The Inner and the Outer Unity of the Bible
김한경 Han Kyung Kim
아우구스티누스와 칼뱅의 기독론적 교회론 비교 연구 ┃ 158
A Critic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Augustine and Calvin’s Christological Ecclesiology
김경문 Kyung Moon Kim
「조직신학연구」 47 (2024년 8월 30일)
생태학적 정치신학에 관한 연구 : 생태 위기 극복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 ┃ 22
Political Participation of Christian for Overcoming Eco-Crisis
박성철 Sungchole Park
'여호수아서 주석'에 나타난 요하네스 칼빈의 신론 : 언약론적 관점에서 고찰한 하나님을 아는 지식 ┃ 50
John Calvin’s Doctrine of God in his Commentary on Joshua : A Study on Cognitio Dei from his Covenantal Point of View
이재호 Jae Ho Lee
이근삼(李根三, 1923-2007)과 기타모리 가조(北森加藏, Kitamori Kazoh, 1916-1998)의 기독론 비교 연구 : 그리스도의 고난을 중심으로 ┃ 78
A Comparative Study on Christologies of Kun Sam Lee and Kazoh Kitamori : Focusing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uffering of Christ
이신열 Samuel Y. Lee
존 폴킹혼의 케노시스 창조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 112
Critical Evaluation concerning John Polkinghorne’s Kenotic Doctrine of Creation
박찬호 Chan Ho Park
기후위기와 생태적 죄: 마조리 수하키의 논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44
The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Sins: A Critical Examination of Marjorie Suchocki’s Thesis
윤형철 Hyung Chul Yoon
찰스 피니의 부흥신학과 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평가 ┃ 178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Charles Finney’s Revival Theology and Methodology
유창형 Chang Hyung Yoo
성자의 영원한 순종(Eternal Submission) 연구 : 토마스 아퀴나스의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 206
Study on the Eternal Submission of the Son : Focusing on Thomas Aquinas’s Doctrine of the Trinity
안영준 Young Joon An
「조직신학연구」 48 (2024년 12월 30일)
헤르만 바빙크의 '기독교 신앙 안내서'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인 내용 연구 ┃ 12
Herman Bavinck’s Guidebook for Instruction in Christian Religion: A Study on its Historical Backgroun and the Theological Contents
이상웅 Sang Ung Lee
교회 속성에 대한 논의: 고전기와 종교 개혁기를 중심으로 ┃ 50
DISCUSSION OF CHURCH ATTRIBUTES
양진영 Gene J. Yang
메타버스 교회에 있어 공간과 존재의 관계성이 갖는 신학적 의의 및 적용 ┃ 80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Being in the Metaverse Church
장호광 Ho Koang Jang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행위언약의 본질과 속성┃ 112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Covenant of Works 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박재은 Jae Eun Park
그리피스 존(Griffith John)의 ????상뎨진리(上帝眞理, The True Doctrine of God)????에 나타난 신론 연구 ┃ 144
A Study of the Doctrine of God in Griffith John’s The True Doctrine of God
서상진 Sang Jin Seo
‘은닉대본’으로 김상준 읽기 - 초기 성결교회 지도자들의 역동적 관계성 연구 - ┃ 178
Reading Kim Sang Jun from the Perspective of a Hidden Transcript - A Study of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ing Pastors of the Early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
오성욱 Sung Wook Oh
「조직신학연구」 49 (2025년 4월 30일)
버나드 로너간의 ‘지평-분석(horizon-analysis)’을 통한 데이비드 트레이시의 신학적 토대 연구 ┃ 18
The Study of David Tracy’s theological foundation through ‘Horizon-analysis’ of Bernard Lonergan
구균하 Kyunha Ku
교부 신학과 종교개혁 신학의 칭의론 비교 연구: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중 의(duplex iustitia)와 레겐스부르크 회담의 신학적 함의 ┃ 50
A Comparative Study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Patristic and Reformation Theology: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Augustine’s Concept of Duplex Iustitia and the Regensburg Colloquy
안영준 YoungJoon An
창조론에서 본 기독교 자연신학의 문제와 비전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삼위일체 자연신학을 중심으로- ┃ 92
The Problem and Vision of Christian Natural Theology in Creationism - Focusing on Alister McGrath’s Trinitarian Natural Theology -
임영동 Young Dong Lim
헨리 비처 (Henry Ward Beecher, 1813-1887)의 유신진화론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판: 그의 '''진화와 종교'를 중심으로 ┃ 140
A Reformed Critique on Henry Ward Beecher’s Understanding of Theistic Evolution: Focusing on his Evolution and Religion
이신열 Samuel Y. Lee
존 밀뱅크의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존재론에 대한 비판에 관하여 ┃ 178
On John Milbank’s Critique of Heidegger’s Phenomenological Ontology
임순숙 Soon Sook Yim
아우구스티누스의 기억-시간론을 통한 ‘노년초월’의 기독교적 이해 ┃ 214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Gerotranscendence’ through Augustine’s Memory-Time Theory
윤형철 HyungChul Yoon
헤르만 바빙크의 '개혁교의학'(Gereformeerde Dogmatiek)의 영역본에 대한 재고 - 제1권 신학서론을 중심으로 - ┃ 248
A Reconsideration of the English version of Herman Bavinck’s Reformed Dogmatics - Focusing on the Volume 1 : Theological Prolegomena
이상웅 SangUng Lee
랜디 매덕스의 저서 '응답적 은총'에 나타난 존 웨슬리의 완전성화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78
Critical Review of John Wesley’s Concept of ‘Entire Sanctification’ as Interpreted in Randy L. Maddox’s Responsible Grace
오성욱 Sung Wook Oh
첨부파일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STKETS, Systematic Theology Division of Korea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